본문 바로가기

Cloud

(23)
[docker] Docker 시작 1. 도커란? 도커는 리눅스 컨테이너에 여러 기능을 추가함으로써 애플리케이션을 컨테이너로서 좀 더 쉽게 사용할 수 있게 만들어진 오픈소스 프로젝트이다. 1.1 차이점 가상머신은 각종 시스템 자원을 가상화하고 독립된 공간을 생성하는 작업은 하이퍼바이저를 반드시 거치기 때문에 일반 호스트에 비해 성능의 손실이 무조건 발생한다. 그리고 운영체제를 사용하기 위해 라이브러리, 커널등을 전부 포함하기 때문에 이미지의 크기가 크다. 그에 비해 도커 컨테이너는 가상화된 공간을 생성하기 위해 리눅스의 자체 기능인 chroot, namespace, cgroup을 사용함으로써 프로세스 단위의 격리 환경을 만들기 때문에 성능 손실이 거의 없다. 컨테이너에 필요한 커널은 호스트 OS의 커널을 공유해 사용하고 필요한 라이브러리 ..
Openstack Instance VNC URL 접속법 1. DashBoard 1.1 Instance VNC_URL DashBoard로 접속을 하여 사용자 로그인을 한 후 목록에 ‘프로젝트’ - ‘Compute' - '인스턴스' 를 클릭한다. ‘작업’ 항목에 ‘▼’을 클릭하면 아래 그림처럼 여러 작업목록이 보인다. 그중에 '콘솔'을 클릭하거나 ‘인스턴스 이름‘을 클릭하여 콘솔 접속을 한다. 콘솔에 접속을 하면 웹에서 VNC로 인스턴스에 접근이 가능하다. 2. Command 2.1 Instance VNC_URL 사용자 환경설정 파일을 실행 시켜준다. [root@localhost ~]# source adminrc.sh Please enter your OpenStack Password for project 1-Team as user admin: 패스워드 입력 ‘e..
[heat] YAML파일 Example heat_template_version: 2015-04-30 description: Simple template to deploy a single compute instance #-------------------------EXAMPLE 1---------------------------------------------------- resources: my_instance: type: OS::Nova::Server properties: key_name: my_key image: c7-minimal flavor: cap1.tiny #-------------------------------------------------------------------------------------- #----------..
Openstack - cinder 크기 확장 packstack으로 오픈스택을 설치 할 시 값을 바꾸지 않으면 Cinder Volume default값은 20.60GIB이다. 그래서 클라우드 Volume을 생성할 때 20GIB 이상의 볼륨은 생성이 되지 않고 오류가 발생한다. 이를 위해 Cinder의 Volume 크기를 늘려야 한다. Cinder Volume 크기 확장 pvscan으로 확인해보면 cinder의 volume크기는 20.60GIB이고 VG의 이름은 cinder-volumes인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이름을 기억하자 [root@localhost ~]# pvscan …… PV /dev/loop1 VG cinder-volumes lvm2 [
[CLI] OpenStack 인스턴스 생성 하기 1. 계정 인증 1.1 계정 인증 파일 command로 사용자 생성, 볼륨 생성 등 하기 전엔 로그인 하듯이 최초의 한번만 실행 시킨다. 대쉬보드에서 관리자(admin) 계정으로 로그인 후 오른쪽 상단에 OpenStack RC File v3 클릭 후 다운로드 안내창이 뜨면 패스워드를 입력해준다. ※다운받은 파일은 로그인할 계정(admin)을 인증하는 파일이다. [root@localhost ~]# source admin-openrc.sh Please enter your OpenStack Password for project admin as user admin: 계정 인증할 안할시 밑에처럼 오류가 뜬다. [root@localhost ~]# openstack router create test_router Mi..
OpenStack 환경설정 파일 1. 환경설정 파일 OpenStack은 클라이언트 동작에 대한 효율성 증대를 위해, OpenRC 파일로도 알려져 있는 단순한 클라이언트 환경 스크립트를 지원한다. 아래 파일이 없으면 각 사용자에 맞게 생성을 해준다. $PROJECT_NAME 및 $USER_NAME등 부분에 사용자 정보를 입력해준다. [root@localhost ~]# vi adminrc.sh export OS_PROJECT_DOMAIN_NAME=Default export OS_USER_DOMAIN_NAME=Default export OS_PROJECT_NAME=$PROJECT_NAME export OS_USERNAME=$USER_NAME export OS_PASSWORD=$ADMIN_PASS export OS_AUTH_URL=http:/..
OpenStack - Train 버전 설치(PackStack.Ver) 1. 프로젝트 개요 1.1 설치환경 구성표 Linux 버전 CentOS Linux 7 (Core) Linux 3.10.0-1062.el7.x86_64 IP 192.168.214.120 DNS 192.168.10.1 CPU Intel(R) Core(TM) i5-8400 CPU @ 2.80GHz RAM 32 GB HDD 500 GB 2. 용어 설명 2.1 Openstack 이란? OpenStack은 풀링된 가상 리소스를 사용해 프라이빗 및 퍼블릭 클라우드를 구축하고 관리하는 오픈소스 툴(또는 프로젝트)의 조합이다. 이러한 6개의 프로젝트가 컴퓨팅, 네트워킹, 스토리지, Identity, 이미지 서비스와 같은 핵심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를 처리하며 수십 개 이상의 옵션 프로젝트를 함께 묶어 고유하고 배포 가능..